미러리스 풀프레임과 크롭바디 차이점 안녕하세요카메라에 대해서 완전 어린이 입니다..풀프레임은 a7c2를, 크롭바디는 zv-e10과 zv-e10m2를 후보로
미러리스 풀프레임과 크롭바디 차이점 안녕하세요카메라에 대해서 완전 어린이 입니다..풀프레임은 a7c2를, 크롭바디는 zv-e10과 zv-e10m2를 후보로
안녕하세요카메라에 대해서 완전 어린이 입니다..풀프레임은 a7c2를, 크롭바디는 zv-e10과 zv-e10m2를 후보로 두었습니다. 하지만 완전 초심자 입장에서는 풀프레임은 너무 고가라 크롭바디로 결정을 했습니다.사용용도는 스마트폰으로 찍던 일상 속 사진들을 더 좋은 퀄리티로 촬영하고싶고 캠핑 영상을 찍어 시네마틱한 영상을 편집해 유튜브에 취미로 올리고싶습니다.(색보정에 대해 아예 몰라 크리에티브룩이 있으면해서 m2로 마음이 좀 더 갑니다.)풀프레임과 크롭바디의 차이점, 단점은 화각, 조리개값, 피사체와의 거리를 같은 환경에서 촬영시 풀프레임 대비 촬영 사진이 크롭되고 심도가 얕고 저조도 환경에서 화질, 노이즈 차이가 있다고 봤습니다.큰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궁금점은 소니 zv시리즈 기준 화각이 1:1.5 차이인데 피사체와 같은 거리에서 풀프레임 촬영 화각으로 나오려면 1.5배 곱한 렌즈 화각을 쓰면 비슷한 화각, 심도의 결과물이 나오는 걸까요?저조도 환경에서의 차이는 많이 날까요?(zv시리즈가 저조도 환경에서도 좋다해서요)E10은 기계식셔터, m2는 전자식셔터인데 전자식셔터는 플리커 현상에서 더 취약하다 들었는데 플리커 현상은 가정집에 들어오는 교류 전력 주파수가 60hz로 눈으론 못느끼는, 전등이 깜빡깜빡 하는 그 순간이 촬영 되는 걸로 압니다. 그렇다면 야외 촬영시 플리커 현상은 없는걸까요?그렇다면, 플리커현상이 있는 실내등을 쓰는 실내에서는 조명을 쓰면 괜찮을까요?조명은 미니 조명을 사용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글이 잘 정리되지 못했는데.. 좋은 답변과 조언 부탁드립니다.이런한 단점들이 적은대로 보완이 된다면 zv-e10m2로 구매하려합니다. 풀프레임이 모든 부분에서 좋겠지만 취미용도로 가격 부담이되네요.. 마음은 a7c2인데 머리로는 zv시리즈로 정리됩니다 ㅎㅎ.. 결과적으로 입문자이고 상업적 용도라 어어어엄청난 고퀄리티 결과물을 내야하는 것도 아니고 제가 사용하는 용도에서 엄청난 큰 차이가 있을까요?!

사용용도는 스마트폰으로 찍던 일상 속 사진들을 더 좋은 퀄리티로 촬영하고싶고 캠핑 영상을 찍어 시네마틱한 영상을 편집해 유튜브에 취미로 올리고싶습니다.(색보정에 대해 아예 몰라 크리에티브룩이 있으면해서 m2로 마음이 좀 더 갑니다.)
우선 주력이 아니라도 유튜브용이라면 Zve10m2 가는것이 맞습니다
사진에서 핵심은 사진의 퀄리티 ?가 아니라 사진의 분위기 입니다 ... 렌즈를 아웃포커싱이 잘되는 렌즈를 써서 뒷배경 날리는 사진을 찍는다던가 ( 스마트폰에서 AI 로 만드는 아웃포커싱과는 비교가 안되죠 ) 이런 아웃포커싱 + 색감으로 감성적 느낌의 사진은 아무래도 사진의 화질을 보다는 느낌 ,,,즉 사진의 색감이나 분위기를 봅니다
퀄리티만 본다면 풀프레임이 조금 더 나은것은 맞지만 느낌 분위기는 크롭으로 같은 분위기 느낌의 사진 충분히 찍을수 있습니다
풀프레임과 크롭바디의 차이점, 단점은 화각, 조리개값, 피사체와의 거리를 같은 환경에서 촬영시 풀프레임 대비 촬영 사진이 크롭되고 심도가 얕고 저조도 환경에서 화질, 노이즈 차이가 있다고 봤습니다.
큰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궁금점은 소니 zv시리즈 기준 화각이 1:1.5 차이인데 피사체와 같은 거리에서 풀프레임 촬영 화각으로 나오려면 1.5배 곱한 렌즈 화각을 쓰면 비슷한 화각, 심도의 결과물이 나오는 걸까요?
그냥 크롭 바디를 쓰면서 환산 화각이 얼마가 되는지만 보시면 됩니다
24mm 라는 렌즈가있다면 이것은 초점거리가 24mm 이지만 크롭 바디에 끼우면 화각 즉 환산화각이 36mm 가 됩니다
풀프레임에서 35mm 쓰고 찍는거 크롭에서는 24mm 렌즈 쓰면 같은 화각 같은 구도로 보입니다
즉 님이 풀프레임레서 35mm 1,8 렌즈를 쓰고 찍은것과 크롭에서 24mm 1,8 렌즈를 쓰고 찍으면 화각 즉 구도는 정확하게 일치하지만 심도 즉 아웃포커싱은 풀프레임의 35mm에서 F 2,8 이나 3,2 정도 찍은것 같은 심도가 나옵니다
저조도 환경에서의 차이는 많이 날까요?(zv시리즈가 저조도 환경에서도 좋다해서요)
소니가 저조도에서 비교적 고감도 성능이 좋은것은 맞습니다
큰 차이는 아니구요 눈에 뜨기게 화질 저하가 되는것은 ISO 6400 혹은 12800 으로 스마트폰에서는 생각하지 못하는 고감도이기때문에 이전 스마트폰을 찍던 영상 보다는 휠신 더 좋게 찍을수 있습니다
E10은 기계식셔터, m2는 전자식셔터인데 전자식셔터는 플리커 현상에서 더 취약하다 들었는데 플리커 현상은 가정집에 들어오는 교류 전력 주파수가 60hz로 눈으론 못느끼는, 전등이 깜빡깜빡 하는 그 순간이 촬영 되는 걸로 압니다. 그렇다면 야외 촬영시 플리커 현상은 없는걸까요?
그렇다면, 플리커현상이 있는 실내등을 쓰는 실내에서는 조명을 쓰면 괜찮을까요?
조명은 미니 조명을 사용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다만 야외에서도 전광판 ,,, 혹은 크리스마스 트리같은 경우 등등 조명이 있으면 사진으로는 표시가 안나지만 영상에서는 조금은 깜박이는 느낌이 납니다
이역시 셔터속도를 1/60 이하로 놓고 촬영하시면 바로 해결할수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고민 크게 하실 필요 없구요
흔히 이야기하는 백열 전구나 LED 조명중 직류 전원을 쓰는 전구들은 플리커에 영향을 안받습니다
조명을 구입하실때 이거는 확인을 하고 구입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기계식 셔터라고 해도 플리커 현상 명확하게 생깁니다 ,,
요즘 소니 쓰는 전문가들이 ,,,, 기계식 셔터 있는 카메라들도 그냥 컷수 때문에 전자식 셔터로 사진을 찍습니다
전자식이라고 뭐 크게 다를거라고 걱정 하지 않아되됩니다